가격은 가격 표시와 이익을 직접 발생시키는 요인의 두가지 측면이 있다.
제품 수명 주기에 대응시킨 가격정책이나 차별 가격정책, 프로모션 가격정책 등
기업으로서 의도적인 전략적 가격 정책이 필요하다.
---
▶ 가격의 의미
기업은 제공하는 제품, 서비스의 가치 수준을 어떤 방법으로든지 표시하고 소비자에게 전달 할 필요가 있다. 가장 알기 쉬운 공통 척도는 돈과 가격이다. 따라서 가격은 반드시 싸서 좋은 것은 아니다.
자칫하면 스스로 가치를 낮추는 것이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또 가격이란 소비자에게 가장 직접적으로 호소할 수 있는 메시지(Message) 수단이다.
가격은 원가와 함께 기업 수익을 직접적으로 규정하는 요인이지만 마케팅 믹스 속에서 종합적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업의 의사를 반영한 일관된 가격 정책이 필요하다.
▶ 제품 수명 주기로 본 가격 전략
가격 결정은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인은 제품 수명 주기이다.
① 신제품의 도입기 가격정책
신제품의 가격 정책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스키밍 프라이싱(Skimming Pricing)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개발 비용의 조기 회수를 노려 당초 비교적 높은 가격을 설정하고 수용층의 확대와 함께 순차적으로 가격을 내려가는 방법이다.
또 한 가지는 시장 도입시 부터 저가격 정책을 취하고 시장 점유율의 조기 확대를 노리는 전략으로
침투 가격정책(penetration Pricing)이라고 불리운다.
② 성장기의 가격 정책
성장기가 되면 가격은 보합세거나 하락 경향이 된다. 왜냐하면 생산. 판매량이 늘고 규모 및 경험효과에 의해 가격이 인하되는 것과 동시에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구매자의 교섭력이 강해지기 때문이다. 또 기업으로도 성장을 유지하기 위해 가격에 민감한 고객층도 시장에 끌어들이기 위해 적절한 시기에 가격 인하를 검토하지 않으면 안된다.
③ 성수기의 가격 정책
성숙기를 맞으면 시장 성장률이 둔화되고 한정된 파이(pie)를 서로 차지 하기 위한 쟁탈전 양상을 띠게된다. 차별화가 곤란해지고 과잉 생산 능려과 맞물려 경쟁은 가격을 중심으로 치열해진다.
④ 그 밖의 정책
그 밖의 목적에 따라 아래와 같은 가격 정책을 채용한다.
가. 차별 가격 정책
똑 같은 제품의 가격에 대해서 고객, 지역, 용도, 시기 등의 상황에 따라서 탄력적으로 가격을 변회시키는 정책을 말한다. 계절 할인, 현금 할인 등의 할인 제도, 판매 장려금, 매출 상환금, 특별 협력금, 등의 리베이트 제도가 여기에 해당된다. 다만 차별 가격이 지나치면 독점 금지법에 저촉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한다.
나. 프로모션 가격 정책
생산 라인 전체의 매출 증진을 목적으로 특정 제품에 특정한 가격을 매기는 정책.
어느제품을특매품으로 선전하고 타제품도 함께 팔 목적으로 붙여주는 소위「아주 싼」가격이 여기에 해당된다.(고객 유인용 특가품(loss leader)가격 설정 이라 부른다).
또 한 제품은 높은 가격을 붙혀서 전체적인 이미지 상승을 노리는 프리스티지(prestige)가격 설정도 여기에 해당된다.
'Knowledge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택배 서비스 제대로 알고 이용하자~ (0) | 2010.02.19 |
---|---|
아웃룩 주소 목록 표시 안될 때 (0) | 2007.09.12 |